'dump'에 해당되는 글 2건
- 2011.07.03 [Hack #10] objdump - (2) 오브젝트 파일 역어셈블
- 2011.06.29 [Hack #4] od - 바이너리 파일 덤프
[ objdump를 이용한 오브젝트 파일 역어셈블 ] |
||||||||||||||||
♧ 역어셈블 관련 옵션
▶ -d 옵션을 사용한 일반적인 역어셈블
▷ -d 옵션을 사용해 역어셈블 할 때는 통상 실행 코드가 있는 섹션(.text등)을 역어셈블 대상으로 삼는다.
▶-D 옵션을 사용해 모든 섹션을 대상으로 역어셈블 길어서 pass~
▷ 일반적인 역어셈블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. 주소 <심볼>: 주소: 코드의 바이트열 역어셈블 코드
▶ 『--no-show-raw-insn』 옵션을 사용하여 코드의 바이트 제거하여 출력.
▶ 『--prefix-address』 옵션을 사용하여 코드 주소를 심볼에서의 상대 주소로 표시
▷ 『--prefix-address』 옵션을 사용하면 디폴트로 코드의 바이트열은 출력되지 않음으로,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『--show-raw-insn』 옵션을 함께 사용.
▶ 덤프할 때와 마찬가지로 -j 옵션을 사용하여 특정 섹션 지정 출력
▶ 덤프할 때와 마찬가지로 주소 범위 지정 출력 전 챕터(Hack #9)에서 했으므로 패스~
▶ -l옵션을 사용하여 가각의 코드에 대응하는 소스코드의 행에 관한 정보도 출력.
▶ -S옵션을 사용하여 -l 옵션의 행 번호에 대응하는 소스코드를 삽입하여 출력.
▷ -S옵션과 -l옵션 동시 사용 가능 ▷ -S옵션과 -l옵션은 오브젝트 파일에 디버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함. (gcc –g)
▷ 오브젝트 파일의 디버그 정보로는 소스코드 경로명과 행 번호만 포함되므로 해당 경로에 소스 파일이 존재해야 한다. 만약 소스 파일이 없다면 소스는 출력되지 않으며 다른 소스 파일이 존재한다면 엉뚱한 소스가 출력될 것이다. ▶ 소스 파일명을 변경후, -S옵션을 사용하였음에도 소스코드는 출력 되지 않음.
▷ 링크하기 전의 오브젝트 파일에서는 재배치되는 주소가 0임에 주의해야 한다. ▷ 위 예에서는 "Hello World!!!\n"을 가리키는 포인터는 12~15 사이의 4바이트에 채워져 있어야 하지만, 링크하기 전이므로 0인 채로 남아 있다.
▶ 링크 후 생성된 실행 파일에서는 해당하는 부분에 다음과 같이 주소가 채워져 있다.
|
'컴퓨터 서적 정리 > Binary Hack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ack #12] nm - 오브젝트 파일에 포함된 심볼 확인 (0) | 2011.07.03 |
---|---|
[Hack #11] objcopy - 실행 파일에 데이터 삽입하기 (0) | 2011.07.03 |
[Hack #9] objdump - (1) 오브젝트 파일 덤프 (0) | 2011.07.03 |
[Hack #8] readelf - ELF 파일 정보 보기 (0) | 2011.07.02 |
[Hack #7] ldd - 공유 라이브러리 의존관계 확인 (0) | 2011.07.02 |
♧ od는 octal dump(『octal』은 8진법을 뜻함)로, 기본적으로 바이너라 파일을 8진수로 덤프해서 출력.
[ 기본적인 8진수 덤프 ] |
⊙ 행 앞 첫 컬럼에 해당하는 숫자(밝은녹색 테두리 부분)는 시작점으로부터의 오프셋을 8진수로 표시한 것. (※ offset은 좌측 메모리 시작점을 0으로 하여 숫자를 통해 위치를 알려주는 좌표계 역할을 함) |
[ 출력 형식 지정 ] -t옵션(--format=TYPE)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⊙ 일반적으로 8진수 보다 16진수로 표시되는 게 알기 쉽다.
(※ a,c → 바이트 단위로 출력)
⊙ 오프셋 표기도 8진수 외에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. '-A 옵션'에 다음 지정자를 이용하면 오프셋의 기수를 변경할 수 있음.
⊙ 또한 z를 덧붙이면 우측에 ASCII문자 표시가 추가.
ex) 출력 형식을(-t) 16진수(x) 1Byte단위(1)로 출력하고 우측에 ASCII문자 표시를 추가(z) 오프셋의 기수를 16진수로 출력(-A x) |
[ 덤프를 생략하지 않기 ] -v옵션 (--output-duplicates) |
⊙ 기본적으로 od는 같은 내용이 여러 행에 걸쳐 반복될 경우 그 부분을 생략 한다.
[ 0x0021d0~0x002220 까지는 00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『*』와 같이 생략]
이 부분을 생략하지 않으려면 -v 옵션을 사용한다. |
[ 문자열 덤프 기능] -S옵션 (--strings) |
⊙ od에는 strings처럼 문자열 덤프 기능이 있다. ASCII문자가 최소 세 자리 이상이고 \0으로 끝나는 바이트 열을 찾아 오프셋과 내용을 표시한다.
⊙ 다음은 위와 같지만 '--strings'옵션을 사용하고 '-An'으로 오프셋 출력을 하지 않는다.
(※ 책에서는 '소문자 -s옵션' 이라고 되어 있지만 이건 예전 버전의 옵션이다. 현재 버전에서는 '대문자 -S 옵션'이며 출력되는 최소문자 바이트를 넣어 주어야 한다. 그러므로 그냥 일반 적인 경우는 "--strings"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호환성 측면에서 좋을 듯하다.) |
※ 버전 별로 옵션이 조금씩 틀리므로 man od로 확인 하여 사용하자.
테스트 환경 :
'컴퓨터 서적 정리 > Binary Hack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ack #6] 정적 라이브러리와 공유 라이브러리 (1) | 2011.07.02 |
---|---|
[Hack #5] Object file - ELF 파일 (0) | 2011.07.01 |
[Hack #3] file – 파일 종류 확인 (1) | 2011.06.29 |
[Hack #2] Binary Hack 용어 정리 (1) | 2011.06.29 |
[책소개] Binary Hacks (0) | 2011.06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