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0. 6. 11. 19:04
○ bonding 이란?
여러장의 이더넷 카드를 묶어 하나의 ip를 부여하여 그만큼 대역폭을 확보하는 방법 입니다.
물론 케이블 불량을 대비한 고장대비 방법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.
○ /etc/sysconfig/network 파일
GATEDEV=bond0 => 추가
○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bond0 작성
DEVICE=bond0
ONBOOT=yes
BOOTPROTO=none
IPADDR=192.168.10.xxx
NETMASK=255.255.255.0
NETWORK=192.168.10.0
GATEWAY=192.168.10.1
TYPE=BOND
○ ifcfg-ethX 설정
DEVICE=ethX
ONBOOT=yes
USERCTL=no
MASTER=bond0
SLAVE=yes
BOOTPROTO=none
○ /etc/modprobe.conf => 수정
alias bond0 bonding
options bond0 mode=0 miimon=100
○ bonding 모듈 적재
# modprobe bonding
○ network 스크립트 재 시작
# service network restart
○ # cat /proc/net/bonding/bond0 ( bonding 설정 내용 확인. )
Failover 의 작동상황 여부는 대략 /proc/sys/net/bonding/bond0 등의 파일을 읽었을때,
Link Failure count 의 변화 여부 확인.
본딩 옵션들
Mode : 본딩방식을 정하는 옵션.0 - RR 방식 로드밸런스. 인터페이스의 라운드로빈. ( 대역폭 상승 + Failover 용 )1 - Active-Standby ( NIC 의 Failover 만을 위한 모드 )한개는 대기상태로 기존것이 이상이 생길경우 active2 - XOR 방식. 수신시에는 MAC 어드레스로 매핑, 송신시 1번 NIC 사용.3 - Broadcast 방식. 모든 Slave NIC 으로 통신 failover 제공.4 - 802.3ad Dynamic Link aggregation.5 - 송신패킷만 로드밸런싱. 동일 스위치에 물려있어야 함.6 - 송수신 패킷 로드밸런싱. 동일스위치에 물려야함.
Miimon : 링크 감시설정 모드. 밀리세컨드단위. 디폴트값 0으로 사용안함이 된다.즉, 0으로 설정하면 Failover 가 되지 않는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(Ubuntu)에서 자바(Java) 설치. (add-apt-repository 이용) (0) | 2012.03.18 |
---|---|
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(0) | 2010.07.29 |
서버 데몬 유형 (1) | 2010.05.29 |
[CentOS]Consol Network 설정 (0) | 2010.05.26 |
Job 스케줄링 (0) | 2010.05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