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1. 5. 29. 20:15

1) 만약을 위한 Root 비빌번호를 바꾸자.

LILO boot : linux single (싱글 부팅)

bash# passwd

New UNIX password: ******

Retype new UNIX password: ******

passwd: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

   

2) netconfig 명령으로 네트워크 설정

① $ netconfig -> Yes

   

② Vmware에서 NAT Settings에서 [Gateway IP] 확인

[Vmware] - [Edit] - [Virtual Network Editor...] - [Vmnet8(NAT)] - [NAT Settings...]

   

③ 아래와 같이 자기에 맞게 셋팅

   

④ ping 확인

  

   

3) Putty 설정 및 접속

 

dPutty 다운로드 링크

   

이제 신나는 BOF원정 go~ go~

Posted by devanix
2011. 5. 29. 20:11

[BOF-BufferOverflow- 원정대란?]
비교적 쉬운 BOF 공략 환경인 Redhat 6.2에서부터 궁극의 Fedora 14까지 
수십개의 레벨을 거쳐가며 BOF 시스템 해킹 실습을 하는 War-Game입니다.

[접속 방법]
BOF 원정대는 도메인이나 IP가 아닌, vmware 이미지 형태로 제공합니다.
따라서 각자의 PC에 워게임 서버를 가동하신 후 접속해 풀어나가는 방식입니다.

[다운로드]
1. 다음 Vmware 이미지를 다운받아 부팅한다.
http://work.hackerschool.org/DOWNLOAD/TheLordOfTheBOF/TheLordOfTheBOF_redhat.zip
2. gate/gate로 로그인한다.
3. netconfig 명령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한다. (setuid 걸어 놨습니다)
4. ip를 확인한다. (/sbin/ifconfig)
5. putty, xshell등으로 터미널 접속하여 문제 풀이를 시작한다. (telnet)

[기본 룰]
1. single boot 금지
2. root exploit 금지
3. /bin/my-pass 명령에 LD_PRELOAD 사용 금지

[레벨업 패스워드 확인]
/bin/my-pass

[전용 게시판]
http://www.hackerschool.org/HS_Boards/zboard.php?id=bof_fellowship

[몹 리스트]
LEVEL1  (gate -> gremlin) :  simple bof
LEVEL2  (gremlin -> cobolt) : small buffer
LEVEL3  (cobolt -> goblin) : small buffer + stdin
LEVEL4  (goblin -> orc) : egghunter
LEVEL5  (orc -> wolfman) : egghunter + bufferhunter
LEVEL6  (wolfman -> darkelf) : check length of argv[1] + egghunter + bufferhunter
LEVEL7  (darkelf -> orge) : check argv[0]
LEVEL8  (orge -> troll) : check argc
LEVEL9  (troll -> vampire) : check 0xbfff
LEVEL10 (vampire -> skeleton) : argv hunter
LEVEL11 (skeleton -> golem) : stack destroyer
LEVEL12 (golem -> darkknight) : sfp 
LEVEL13 (darkknight -> bugbear) : RTL1
LEVEL14 (bugbear -> giant) : RTL2, only execve
LEVEL15 (giant -> assassin) : no stack, no RTL
LEVEL16 (assassin -> zombie_assassin) : fake ebp
LEVEL17 (zombie_assassin -> succubus) : function calls
LEVEL18 (succubus -> nightmare) : plt
LEVEL19 (nightmare -> xavis) : fgets + destroyers
LEVEL20 (xavis -> death_knight) : remote BOF 

해당 사이트 링크
Posted by devanix
2011. 5. 29. 10:17
모든 메뉴가 영어닷.... 울렁... 한글 설정을 해보자.

1) language-selector 설치.


root@bt:~# apt-get install language-selector

Reading package lists... Done

Building dependency tree       

Reading state information... Done

The following packages were automatically installed and are no longer required:

  libdmraid1.0.0.rc16 python-pyicu libdebian-installer4 cryptsetup libecryptfs0 reiserfsprogs

  rdate bogl-bterm ecryptfs-utils libdebconfclient0 dmraid keyutils

Use 'apt-get autoremove' to remove them.

The following extra packages will be installed:

  apt-xapian-index libcairo-perl libglib-perl libgnome2-canvas-perl libgnome2-perl

  libgnome2-vfs-perl libgnomevfs2-extra libgtk2-perl libpango-perl python-debian

  python-software-properties python-xapian software-properties-gtk synaptic unattended-upgrades

Suggested packages:

  libgtk2-perl-doc xapian-doc dwww deborphan bsd-mailx

The following NEW packages will be installed:

  apt-xapian-index language-selector libcairo-perl libglib-perl libgnome2-canvas-perl

  libgnome2-perl libgnome2-vfs-perl libgnomevfs2-extra libgtk2-perl libpango-perl python-debian

  python-software-properties python-xapian software-properties-gtk synaptic unattended-upgrades

0 upgraded, 16 newly installed, 0 to remove and 0 not upgraded.

Need to get 4,020kB of archives.

After this operation, 19.3MB of additional disk space will be used.

Do you want to continue [Y/n]? Y 

위와 같이 language-selector를 설치하면 알아서 의존성 검사를 하여 총 16개의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해준다. (착하다...)

설치 완료후 아래와 같이 [Language Support] [Software Sources] [Synaptic Package Manager] 메뉴가 생겼다.



2) [Language Support] 설정

① 아래의 슬라이드쇼대로 설정 한다.

0123


 ② 재부팅을 하면 아래와 같이 한글이 메뉴가 보인다.


*캬~ 세종대왕님께서 기뻐하시겠다~~~



3) 키보드 설정 (BT5-GNOME-VM-32를 받아 Vmware 에서 테스트 하여 키보드 설정이 안되어 있는 상태! 키보드 설정을 해보자.)

① [시스템] - [기본 설정] - [키보드] - [키 배치(탭)] - [추가(A)...]
② [국가별(탭)] - [국가] - [대한민국] & [변종] - [대한민국 101/104키 호환] - [추가]
③ [키보드 모델] 설정후 -> [시스템 모든 부분에 적용] -> [닫기]


킁..근데 [한/영키][한자]가 먹지 않는다.  구글링......
* Vmware 7 미만 버전에서는 해당키가 모두 적용 되었으나 7 버전 이후부터는 [한/영][한자]키가 인식이 되지 않는다.
  대신 [한/영]키 오른쪽에 있는 [Alt]키가 먹힌다. 또한 [한자]키는 아예 적용이 안되는 고유의 에러 란다 걍 쓰자..머리아프다 ;



추가) 한글 맨페이지 설치 (이왕 하는김에 한글 맨페이지도 설치해보자.)

① 우선 기본 저장소에 manpages-ko 패키지가 없는 상태이므로 [코분투 저장소]를 추가 하자.

 add-apt-repository ppa:cobuntu

② 바로 적용이 안된다. apt-get update를 하자.

# apt-get update

③ 이제 한글 맨페이지 설치

# apt-get install manpages-ko


한글 설치 완료!
 
Posted by devanix